-
1
-
장준하의 언론사상 연구
-
김영희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;
(한국언론정보학보 =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& Information,
v.59,
2012,
pp.50-70)
-
2.
- 장준하의 反독재 민주화운동과 기독교 신앙
- 이진호
-
목원대학교, 국내석사,
48 p, 2002
-
3
-
기독교인 장준하의 생애와 자유‧민권 사상
-
차현지;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;
(한국기독교와 역사,
v.0,
2020,
pp.133-178)
-
4
-
장준하의 언론사상 연구
-
김영희;
서울대학교;
(한국언론정보학보,
v.59,
2012,
pp.50-70)
-
5
-
한국정치에서 음모론과 선거의 연관성: '장준하 사망', '광주민주화운동', '천안함 침몰'을 중심으로
-
정태일;
충북대학교;
(한국과 국제사회 = Korea and Global Affairs,
v.1,
2017,
pp.7-30)
-
6
-
제2공화국과 장준하
-
김기승;
순천향대학교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34,
2003,
pp.109-141)
-
7
-
기독교인 장준하의 생애와 자유‧민권 사상
-
차현지;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;
(한국기독교와 역사,
v.0,
2020,
pp.133-178)
-
8
-
현대 한국 민주주의 담론의 계량통계적 내용분석: 장준하, 함석헌과 리영희의 민주주의관
-
김지희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비교민주주의연구,
v.18,
2022,
pp.103-158)
-
9
-
현대 한국 민주주의 담론의 계량통계적 내용분석: 장준하, 함석헌과 리영희의 민주주의관
-
김지희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비교민주주의연구,
v.18,
2022,
pp.103-158)
-
10
-
해방전후 지식인의 조국 표상(表象) 두 가지 방식 : 장준하의 『돌베개』(사상, 1985)를 대상으로
-
안미영;
건국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21,
pp.127-1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