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9건 중 159건 출력
, 1/16 페이지
-
1
-
동제 전승주체의 변화
-
강정원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36,
2002,
pp.1-25)
-
2
-
동해안굿의 전승주체와 문화 창출
-
윤동환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17,
2008,
pp.125-153)
-
3
-
민속의 전승주체는 누구인가?
-
임재해;
;
(民俗硏究,
v.1,
1991,
pp.47-80)
-
4
-
민속문화의 전승주체와 민중의 문화창조력
-
임재해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6,
2004,
pp.9-58)
-
5
-
전승판의 외적 조건과 전승주체의 대응-동해안별신굿을 중심으로-
-
윤동환;
동국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08,
pp.223-253)
-
6.
- '진주·삼천포 풍물'의 전통형성과 전승주체의 현실대응
- 남성진
-
안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35p., 2003
-
7
-
동해안 마을굿의 전승주체로서 ‘노반계’와 마을공유자원의 활용 문제
-
조정현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24,
2012,
pp.253-283)
-
8
-
동해안굿의 전승주체와 문화 창출
-
윤동환;
동국대학교;
(한국무속학,
v.0,
2008,
pp.125-154)
-
9
-
별신굿의 경제적 기반과 전승주체의 변화 - 경북 울진군 기성면 기성리를 중심으로
-
윤동환;
;
(한국무속학 = Korean shamanism,
v.25,
2012,
pp.99-122)
-
10
-
솟대쟁이놀이의 재현과 전승주체의 시대조응
-
남성진;
경상대학교;
(민속연구,
v.0,
2018,
pp.7-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