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63건 중 363건 출력
, 1/37 페이지
-
1
-
전통선비무예 태격의 전통무예로서의 독자성에 대한 소고
-
김종회;
임정호;
최윤창;
류승권;
박근;
;
(武道硏究所誌 = The Journal of martial arts,
v.20,
2009,
pp.19-33)
-
2
-
한국 전통무예 진흥을 위한 무예 인식 및 현안 분석과 활성화 방안- 전통무예 진흥 관련 법제도 및 정책·행정을 중심으로 -
-
공시영;
인제대학교;
(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,
v.24,
2021,
pp.123-149)
-
3.
- 전통무예 천무극의 기원과 구성원리
- 남민우
-
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88 p., 2013
-
4.
- 傳統武藝로서 택견의 特性
- 정재성
-
國民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116p., 2006
-
5
-
전통무예 택견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
-
장경태;
송일훈;
;
(武道硏究所誌 = The Journal of martial arts,
v.20,
2009,
pp.47-60)
-
6
-
캐릭터를 이용한 전통무예 디지털 콘텐츠 개발연구
-
이강현;
중부대학교 정보매체공학부;
(한국콘텐츠학회지 =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,
2003,
pp.48-53)
-
7.
- 한국 전통무예의 수련목적 고찰
- 김병태
-
용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4p., 2005
-
8
-
전통무예와 군사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- 수원 화성과 무예24기 중 마상무예(馬上武藝)를 중심으로
-
최형국;
;
(歷史와實學 = The Journal of History and Korean Practical Thought Studies,
v.48,
2012,
pp.219-243)
-
9
-
전통무예의 관광자원화 방안 - 경주를 중심으로
-
박종희;
;
(관광·레저연구=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,
v.13,
2002,
pp.75-88)
-
10
-
전통무예 전승자가 인식하고 있는 전통의 의미
-
이충삼;
김태홍;
김영구;
;
(한국체육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,
v.14,
2005,
pp.3-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