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박완서 노년소설의 시학과 문학적 함의(Ⅱ)
-
전흥남;
;
(國語文學,
v.49,
2010,
pp.111-130)
-
2
-
문순태의 노년소설에 나타난 ‘노인상’과 소통의 방식
-
전흥남;
;
(國語文學,
v.52,
2012,
pp.287-309)
-
3
-
엄흥섭 소설의 변모과정과 그 의미
-
전흥남;
;
(國語文學,
v.31,
1996,
pp.415-445)
-
4
-
『절망 뒤에 오는 것 』에 나타난 '여순사건'의 수용양상과 의미
-
전흥남;
;
(국어국문학,
v.127,
2000,
pp.399-421)
-
5
-
채만식의 「허생전」에 나타난 고전소설의 현대적 수용과 변용
-
전흥남;
;
(국어국문학,
v.109,
1993,
pp.193-218)
-
6
-
[특집논문 / 춘원 이광수] 춘원의 「단종애사」 연구
-
전흥남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6,
2005,
pp.53-78)
-
7
-
"채만식(蔡萬植)의 「소년은 자란다」 고(攷)
-
전흥남;
;
(국어국문학,
v.107,
1992,
pp.195-222)
-
8
-
한국 근대소설의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적용과 그 가능성 탐색
-
전흥남;
;
(國語文學,
v.45,
2008,
pp.213-238)
-
9
-
박완서 노년 소설의 담론 특성과 문학적 함의 - 〈저문 날의 삽화〉를 중심으로
-
전흥남;
;
(國語文學,
v.42,
2007,
pp.33-66)
-
10.
- 金東仁의 歷史小說 硏究 : <젊은 그들>과 <운현궁의 봄>을 中心으로
- 전흥남
-
全北大學校, 국내석사,
iii,75p., 198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