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이미지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』 읽기 -아카데미아와 그 해설
-
김한결;
중앙대학교 HK+접경인문학연구단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7,
2021,
pp.341-357)
-
2
-
Employment Contracts as a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First Stage of Labor Migration of North Korean Workers to the Far East of the USSR (1946 - 1957)
-
아쿨렌코 바딤;
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+ 접경인문학연구단;
(중소연구,
v.47,
2024,
pp.301-333)
-
3
-
Three-Decade Overview: Evolution and Current Dynamics of Russia-Republic of Korea Bilateral Relations
-
Vadim Akulenko;
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+접경인문학연구단;
(동북아연구,
v.39,
2024,
pp.251-273)
-
4
-
루키우스 폼페이우스 니게르-로마 제국 군단병의 어긋난 정체성 또는 혼종적 정체성?-
-
반기현;
접경인문학 연구단;
(서양사론,
v.0,
2019,
pp.79-103)
-
5
-
플라톤 고르기아스 편과 전투 혹은 축제: “소크라테스적 대화”에 대한 세 가지 이해
-
구교선;
중앙대학교 접경인문학연구단;
(대동철학,
v.98,
2022,
pp.1-21)
-
6
-
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(Muséum national d’Histoire naturelle)의 건립 초기 문헌들에 관한 역사학적 분석의 시도
-
김한결;
중앙대학교 HK+접경인문학연구단;
(프랑스사 연구,
v.0,
2023,
pp.39-61)
-
7
-
인간 너머의 국가론에 대한 다학제적 논평
-
김준수;
이강원;
최명애;
박지훈;
황진태;
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;
인천대 일어일문학과 조교수;
KAIST 인류세연구센터 연구조교수;
중앙대 접경인문학 연구단 연구교수;
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부연구위원;
(대한지리학회지,
v.57,
2022,
pp.109-116)
-
8
-
포스트디아스포라, 한국어문학의 새로운 접경:박미하일론
-
나소정;
단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3,
2021,
pp.303-328)
-
9
-
DMZ 일원의 보훈가치와 협력 거버넌스의 구축
-
박영민;
대진대학교;
(한국보훈논총,
v.19,
2020,
pp.31-48)
-
10
-
Employment Contracts as a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First Stage of Labor Migration of North Korean Workers to the Far East of the USSR (1946 - 1957)
-
아쿨렌코 바딤;
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+ 접경인문학연구단;
(중소연구,
v.47,
2024,
pp.301-3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