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장식은 미덕이다
-
정기황;
;
(建築 =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,
v.55,
2011,
pp.39-42)
-
2
-
전통미를 살린 농촌주택의 방향과 과제
-
배용규;
정동섭;
임창수;
김혜란;
주대관;
정기황;
;
(도시정보 = Urban information service,
v.384,
2014,
pp.3-20)
-
3
-
서울 가회동11번지 도시한옥주거지의 필지형성과정 연구
-
송인호;
정기황;
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;
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23,
2014,
pp.47-60)
-
4.
- 서울 도시한옥의 적응태
- 정기황
-
서울시립대학교, 국내박사,
xiv, 252p., 2015
-
5.
- 紫霞門 길 주변지역의 도시건축 適應類型 연구
- 정기황
-
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167 p, 2008
-
6.
- 금융상품광고의 희소성메시지와 메시지프레이밍의 유형이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
- 신현범
-
동의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16 p., 2010
-
7.
- 평양검무 변천 과정 연구
- 유안나
-
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22 p., 2020
-
8
-
南溪 朴世采의 ‘四端理發, 七情氣發’ 이해
-
김현수;
성균관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08,
pp.115-132)
-
9
-
‘전통문화지구 보존(재생)정책’의 장소산업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고찰 - 서울시 인사동, 북촌, 돈암동, 서촌의‘장소’, ‘공공성’담론을 중심으로 -
-
정기황;
;
(서울학연구,
v., 0,
2011,
pp.173-226)
-
10
-
南溪 朴世采의 ‘四端理發, 七情氣發’ 이해
-
김현수;
성균관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08,
pp.115-1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