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정남훼절담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
-
여세주;
;
(嶺南 語文學,
v.16,
1989,
pp.259-278)
-
2
-
정남훼절 설화의 유형성과 그 의미
-
여세주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0,
1989,
pp.69-103)
-
3
-
조선 세종대에 창제된 정남일구 복원모델 연구
-
박지원;
민병희;
김상혁;
김용기;
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;
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;
한국천문연구원;
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;
(천문학논총 =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,
v.38,
2023,
pp.1-12)
-
4.
- 해시계의 AI 기반 연구동향 분석 및 정남일구 복원을 통한 교육적 활용
- 박지원
-
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63, 2025
-
5
-
ERRATUM
-
;
;
(日本水處理生物學會誌= Japanese journal of water treatment biology,
v.24,
1988,
pp.24-24)
-
6.
- Flow cytometer를 이용한 뇌종양 환자의 T-세포아군의 분석
- 정남
-
全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23p., 1990
-
7.
- 주택지붕 형상에 따른 태양광발전 모듈의 음영영향 평가연구
- 정용복
-
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, 국내석사,
xvi, 100p., 2005
-
8
-
생물학적 특성과 DNA분석을 이용한 한국내 Armillaria속균의 분류
-
성재모;
양근주;
김수호;
;
강원대학교 농생물학과 균학실험실;
(주)한농 정남연구소 생물연구실;
(주)한농 정남연구소 생물연구실;
미국 Iowa 주립대학교 식물병리학과;
(한국균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,
v.25,
1997,
pp.46-67)
-
9
-
『한성신보』 소재 야담계 기사(記事)의 서술 시각과 인물 형상
-
김찬기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38,
2013,
pp.363-386)
-
10
-
『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』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비판적 검증 및 학술적 오류 정정
-
이 정남;
;
(Barun Academy of History,
v.,
2022,
pp.189-22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