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1/12 페이지
-
1.
- 정비석 소설의 창작방법 연구
- 한혜원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96p., 2001
-
2.
- 정비석 소설 <자유부인> 의 인물 연구
- 김지연
-
동아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60장, 2001
-
3.
- 정비석 초기연애소설 연구
- 김지영
-
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92 p., 2000
-
4.
- 정비석 『자유부인』의 서술전략 연구
- 한명희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8 p., 2013
-
5
-
해방기 환멸의 정조와 상상적 탈주 - 정비석의 해방기 소설을 중심으로
-
김현주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2,
2012,
pp.95-124)
-
6
-
미국 헤게모니하 한국문화 재편의 젠더 정치학 - 1940~1950년대 정비석 대중소설을 중심으로
-
정종현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5,
2008,
pp.149-195)
-
7.
- 해방기 중간파 소설의 알레고리적 역사성 연구 : 염상섭, 박영준, 정비석을 중심으로
- 강아람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207 p., 2025
-
8
-
A Study on the Aspects of Cheong Bi-seok's “Gowon[The Spring of Hometown]” as a Novel of Liberation Period
-
Nam, Ji-Hyun;
;
(현대소설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,
v.65,
2017,
pp.183-209)
-
9
-
1950년대 정비석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‘연애’ 연구
-
류경동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6,
pp.95-115)
-
10
-
Gender Politics and Mansplain in the Liberation Period - focus on novels of Jeong, Bi-Seok, Kim, Dong-Ni, Yeom, Sang-Seop -
-
Oh, Tae-Young;
;
(현대소설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,
v.63,
2016,
pp.179-2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