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[서평] 韓國古典詩學史-전형대ㆍ정요일ㆍ최웅ㆍ정대림 共著 弘盛社, 1979 10
-
김현용;
;
(현상과 인식 =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,
v.4,
1980,
pp.160-166)
-
2
-
退溪의 「陶山十二曲跋」과 栗谷의 「精言玅選序」에 나타난 詩歌觀 - 「毛詩序」ㆍ「詩集傳序」 등 역대 儒家의 文學論과 관련하여
-
정요일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2000,
2000,
pp.117-179)
-
3
-
儒家의 自然觀
-
정요일;
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38,
2010,
pp.425-442)
-
4
-
『訓民正音』 「序文」의 ‘者’ㆍ‘놈’의 意味와 관련한 古典 再檢討의 必要性 論議 -‘者’와 ‘놈’은, ‘것’ 또는 ‘경우’를 뜻한다-
-
정요일;
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36,
2008,
pp.269-295)
-
5
-
문화관광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통 인문학의 역할
-
정요일;
서강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07,
pp.115-141)
-
6
-
天機의 槪念과 天機論의 意義
-
정요일;
서강대학교;
(漢文學報,
v.19,
2008,
pp.243-260)
-
7
-
漢文學 硏究의 方向
-
정요일;
서강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03,
pp.229-256)
-
8
-
天機의 槪念과 天機論의 意義
-
정요일;
서강대학교;
(漢文學報,
v.19,
2008,
pp.243-260)
-
9
-
문화관광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통 인문학의 역할
-
정요일;
서강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07,
pp.115-141)
-
10
-
燕巖 小說 ⟨兩班傳⟩과 ⟨穢德先生傳⟩에 나타난 선비精神
-
정요일;
서강대학교;
(漢文敎育論集,
v.19,
2002,
pp.455-48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