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東史年表』의 간행과 그 의미
-
정욱재;
;
(藏書閣 = Journal of Jangseogak archives,
v.9,
2003,
pp.109-131)
-
2
-
‘나철 친필본’의 출현과 의의 - 「離世歌(세상떠나는노래)」·「殉命三條」·「거듭빛노래(重光歌)」
-
정욱재;
;
(역사문제연구,
v.2012,
2012,
pp.301-320)
-
3
-
한말․일제하 梁鳳濟의 활동
-
정욱재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16,
2011,
pp.437-466)
-
4
-
性齋 許傳의 경세론 - 「三政策」을 중심으로
-
정욱재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19,
2013,
pp.405-437)
-
5
-
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 - 『백두산유람록』을 중심으로
-
정욱재;
;
(藏書閣 = Journal of Jangseogak archives,
v.24,
2010,
pp.169-192)
-
6
-
일제강점기 대종교인 成世英의 백두산 여행과 영토의식 - 「遊白頭山紀行錄」을 중심으로
-
정욱재;
;
(역사와 담론 = History and discourse : journal of historical review,
v.64,
2012,
pp.95-126)
-
7
-
日帝强占期 沈衡鎭의 『朝鮮歷史千字文』 硏究
-
정욱재;
;
(藏書閣 = Journal of Jangseogak archives,
v.22,
2009,
pp.219-244)
-
8
-
미 국방성의 종심방어전략과 전자정부의 정보보호전략에 관한 비교 연구
-
송운호;
정욱재;
김준범;
강한승;
서울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;
서울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;
서울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;
서울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;
(정보처리학회논문지. The KIPS transactions. Part C Part C,
v.c12,
2005,
pp.659-664)
-
9
-
李始榮의 『感時漫語』 硏究
-
정욱재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01,
pp.67-102)
-
10.
- 근로자의 참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
- 정욱재
-
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, 국내석사,
72 p.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