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내러티브 프레임과 해석 공동체: '전작권 환수 논란'의 프레임 경쟁과 해석 집단의 저널리즘 담론
-
김경모;
정은령;
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;
메릴랜드대 저널리즘대학;
(한국언론정보학보 =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& Information,
v.57,
2012,
pp.109-136)
-
2
-
팩트체크 뉴스와 한국 방송 저널리즘의 신뢰 회복: 방송 기자들의 팩트체크 뉴스 양식과 뉴스가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
-
정은령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;
(방송문화연구,
v.31,
2019,
pp.47-101)
-
3.
- 한국 신문기자의 의견다양성 수행에 관한 연구 : 전시작전통제권 '환수'에 관한 <동아일보> <한국일보> <한겨레> 기자의 해석 프레임 비교
- 정은령
-
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, 국내석사,
v, 108 p., 2007
-
4.
-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에 대한 부모 중재유형이 유아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
- 정은령
-
남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7, 2015
-
5
-
The Characteristics of Korea’s Fact Check Journalism: With a Focus on Fact Check Journalists’ Perception of “Facts” and Investigation of Their Fact Verification Processes
-
정은령,;
;
(언론정보연구 =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,
v.55,
2018,
pp.5-53)
-
6
-
뉴스 수용자의 뉴스에 대한 심리적 근접감: 동감과 공감 변인을 중심으로
-
정은령;
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;
(미디어 경제와 문화,
v.13,
2015,
pp.60-103)
-
7
-
팩트체크 뉴스와 한국 방송 저널리즘의 신뢰 회복: 방송 기자들의 팩트체크 뉴스 양식과 뉴스가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
-
정은령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;
(방송문화연구,
v.31,
2019,
pp.47-101)
-
8
-
내러티브 프레임과 해석 공동체: ‘전작권 환수 논란’의 프레임 경쟁과 해석 집단의 저널리즘 담론
-
김경모;
정은령;
연세대학교;
미 메릴랜드대 저널리즘대학;
(한국언론정보학보,
v.57,
2012,
pp.109-136)
-
9
-
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뉴스 노출 집단의 미디어 이용과 뉴스 인식, 그리고 리터러시 관계
-
김형지;
정은령;
김은미;
양소은;
이재우;
강민지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;
(한국언론정보학보,
v.0,
2020,
pp.231-267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