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51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정훈(政訓)의 창설과 유래에 관한 고찰 : 광복군∼창군기∼6·25전쟁기 정훈 문헌을 중심으로
-
김진수;
세종사이버대학교 교양학부;
(정신전력연구,
v.0,
2024,
pp.3-40)
-
2.
- 정훈 시 연구 : 시기별 특성을 중심으로
- 한창수
-
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, 97장., 2011
-
3
-
17세기 초의 사상적 전개와 정훈의 시조
-
나정순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7,
2007,
pp.75-106)
-
4
-
농장탐방 - 정훈농장(산란계)
-
김동진;
대한양계협회;
(월간양계 = Korean poultry journal,
v.53,
2021,
pp.144-148)
-
5.
- 草廬 李惟泰의 庭訓 硏究
- 김순희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1 장, 2009
-
6.
- 한국군 정훈교육 변화에 관한 연구
- 장영주
-
경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67, 2008
-
7
-
정훈 시가(詩歌)에 반영된 현실 인식과 문학적 형상 재고
-
강경호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49,
2006,
pp.193-230)
-
8
-
On a World of Literature of Jingwol Junghun
-
김종진;
;
(韓國禪學 =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,
v.35,
2013,
pp.297-320)
-
9
-
정훈 시가 다기성에 대한 시학적 이해
-
최홍원;
;
(국어국문학,
v.2011,
2011,
pp.147-178)
-
10
-
정훈의 <우희국사가> 고찰
-
김문기;
;
(국어교육연구,
v.31,
1999,
pp.99-12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