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영조의 제왕학과 국정운영
-
정재훈;
경북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15,
pp.125-147)
-
2.
- 노자의 정치사상과 제왕학
- 강대용
-
울산대학교, 국내박사,
319, 2021
-
3
-
영조의 제왕학과 『御製自省編』
-
김문식;
;
(藏書閣 = Journal of Jangseogak archives,
v.27,
2012,
pp.234-262)
-
4
-
영조의 제왕학과 『御製自省編』
-
김문식;
단국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2,
pp.234-262)
-
5
-
제왕학의 구축에 있어서 李珥「太極」개념의 역할
-
박영우;
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47,
2022,
pp.35-69)
-
6
-
경영학 강의-고전의 제왕학과 현대경영의 조화
-
손창일;
한국지역난방공사 재무처;
(집단에너지 = Intergrated energy industry,
v.5,
2007,
pp.42-43)
-
7
-
⟨홍범연의⟩의 제왕학
-
정재훈;
경북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18,
pp.115-151)
-
8
-
조선후기 제왕학의 발달과 정조의 황극론
-
나종현;
서울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51,
2023,
pp.317-347)
-
9
-
Yijing-Tongzhu: Features and Contemporary Meanings of the First Kingly-learning Zhouyi Textbook in the Qing-dynasty
-
Park, Youngwoo;
;
(中國學報 = Journal of chinese studies,
v.92,
2020,
pp.239-260)
-
10
-
원(元)의 도통론 - 건륭제 『御纂周易述義』의 제왕학 연구 -
-
박영우;
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0,
pp.233-2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