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조병화 시 연구
- 조영숙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ⅱ, 195 p., 2001
-
2.
- 조병화 시에 나타난 타자 인식 연구
- 김혜강
-
인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52p., 2003
-
3
-
조병화 시의 역설적 의미 구조 연구
-
오형엽;
고려대학교;
(어문연구,
v.108,
2021,
pp.143-170)
-
4
-
조병화 시에 나타난 단독자 의식 연구
-
김삼주,;
;
(아시아문화연구,
v.33,
2014,
pp.5-44)
-
5
-
헤세가 한국 작가들에게 미친 영향 - 전혜린, 조병화, 김동리를 중심으로
-
Kyung Yang Cheong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7,
2002,
pp.53-71)
-
6
-
조병화 시에 나타난 꽃 이미지와 실존적 세계
-
이현정;
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대학원 졸업생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1,
pp.151-182)
-
7
-
조병화의 중국 체험과 시적 수용 연구
-
Kim Sam-ju;
;
(아시아문화연구,
v.20,
2010,
pp.1-53)
-
8
-
On the Issue of the Solitude in Jo byeong―Hwa's Poetry
-
Lee, Jae-bok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87,
2023,
pp.329-356)
-
9
-
A Study of Cho Byeonghwa’s Views on Taiwan as Shown in His Illustrated Poetry Series Seokahwa (1958)
-
Seo, Se-Rin;
;
(동악어문학 = Journal of Dong-ak Language and Literature,
v.80,
2020,
pp.49-83)
-
10
-
조병화 시에 나타난 유학적 상상력 연구
-
이상호;
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15,
pp.187-2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