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7건 중 147건 출력
, 1/15 페이지
-
1
-
문화복합 퍼포먼스로서 왕실・황실제례 - 조선 종묘제례와 로마 황제숭배의례를 중심으로
-
Hyun Sook Shin,;
;
(한국연극학,
v.1,
2019,
pp.145-165)
-
2
-
조선시대 출산과 왕실의 ‘장태의례(藏胎儀禮)’ -문화적 실천양상과 그 의미-
-
김지영;
;
(역사와 세계,
v.45,
2014,
pp.39-76)
-
3
-
조선시대 출산과 왕실의 ‘장태의례(藏胎儀禮)’ -문화적 실천양상과 그 의미-
-
김지영;
서울대학교;
(역사와 세계,
v.45,
2014,
pp.39-76)
-
4.
- 생활문화적 관점에서 본 『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』의 보자기 연구
- 김효주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박사,
161, 2018
-
5
-
1829년 기축진찬의례(己丑進饌儀禮)의 진작(進爵) 기물(器物) 연구
-
이아름;
이은주;
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;
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0,
2017,
pp.64-81)
-
6.
- 조선 및 근대 공예의 제작기준, 견양(見樣)
- 이수나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48, 2022
-
7
-
조선 전기 왕실의 차문화 연구-왕실 다례를 중심으로-
-
이진수;
원광디지털대학교;
(차문화산업학,
v.62,
2023,
pp.123-143)
-
8.
- 조선후기 왕실 부용향(芙蓉香) 연구
- 하수민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0
-
9
-
조선시대 왕실 ‘권초례(捲草禮)’의 변화
-
김지영;
서울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12,
pp.141-161)
-
10
-
1829년 기축진찬의례(己丑進饌儀禮)의 진작(進爵) 기물(器物) 연구
-
이아름;
이은주;
안동대학교;
안동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0,
2017,
pp.64-8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