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朝鮮朝 東國眞體 形成에 관한 硏究 : 옥동 『筆訣』과 원교 『書訣』을 중심으로
- 황지영
-
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52p., 2002
-
2
-
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
-
조원교;
국립중앙박물관;
(문화와 예술연구,
v.20,
2022,
pp.78-142)
-
3.
- 圓嶠 李匡師 『扁額』의 書藝美學的 硏究
- 오영애
-
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, 국내석사,
v, 62 p., 2023
-
4
-
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발견 舍利莊嚴具에 대한 硏究
-
조원교;
국립중앙박물관;
(백제연구,
v.0,
2009,
pp.61-96)
-
5
-
한국의 古代 ‘神山 世界’ 圖像 연구(上) – 三國時代까지, 氣 표현 중심으로 –
-
조원교;
국립중앙박물관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15,
pp.207-234)
-
6
-
한국의 古代 ‘神山 世界’ 圖像 연구(下) – 三國時代까지, 氣 표현 중심으로 –
-
조원교;
국립중앙박물관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15,
pp.275-307)
-
7
-
고려·조선시대 도자기의 蓮華文 연구
-
조원교;
국립중앙박물관;
(문화와 예술연구,
v.13,
2019,
pp.13-52)
-
8
-
조선시대 도자기 그림에 대한 新解釋 -海中神山ㆍ三神山 그림-
-
조원교;
국립중앙박물관;
(문화와 예술연구,
v.12,
2018,
pp.13-50)
-
9
-
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
-
조원교;
국립중앙박물관;
(문화와 예술연구,
v.20,
2022,
pp.78-142)
-
10
-
모습이 특이한 연화문에 관한 연구
-
조원교;
국립중앙박물관;
(문화와 예술연구,
v.24,
2024,
pp.75-1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