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김수영과 조태일 시의 ‘풀’ 의미구조 고찰
-
이승철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12,
2012,
pp.241-268)
-
2.
- 조태일 시의 인지시학적 연구
- 이동순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91 p., 2010
-
3.
- 조태일 시의 변모과정 연구
- 이오봉
-
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, 국내석사,
98p., 2004
-
4
-
조태일 시의 탈식민 담론과 생태학적 의미
-
이동순;
;
(민주주의와 인권 =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,
v.12,
2012,
pp.33-56)
-
5
-
작품노트 - 조태일 시인 기념관 및 시집박물관
-
이윤하;
건축사사무소 노둣돌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2002,
2002,
pp.90-94)
-
6
-
조태일 시의 탈식민 담론과 생태학적 의미
-
이동순;
전남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12,
2012,
pp.33-56)
-
7
-
나, 우리, 민중 - 조태일 민중시의 시적 주체
-
김나현;
연세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1,
pp.279-312)
-
8
-
민족과 국토, 그리고 미 - 조태일의 「국토」의 경우
-
최현식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8,
2005,
pp.297-318)
-
9
-
조태일의 민중시 담론 연구 -「민중언어의 발견」(1972)을 중심으로
-
정민구;
전남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20,
2019,
pp.281-309)
-
10
-
민족과 국토, 그리고 미-조태일의 ‘국토’의 경우
-
최현식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9,
2005,
pp.293-3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