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7건 중 197건 출력
, 1/20 페이지
-
1
-
Floodplain Lakes : Past-Present-Future ( Ecology of Oxbow Lakes )
-
주기재;
;
(생명과학 = Life science,
v.3,
1993,
pp.31-32)
-
2
-
스프리 강 (독일) 내의 호수와 강 구획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성장의 차이
-
Joo, Gea-Jae;
Walz, Norbert;
Kim, Hyun-Woo;
Dept. of Biology, Pusan National University;
Institute of Freshwater Ecology and Inland Fisheries, Department of Shallow Lakes and Lowland Rivers;
Institute of Freshwater Ecology and Inland Fisheries, Department of Shallow Lakes and Lowland Rivers;
(한국육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limnology,
v.33,
2000,
pp.197-205)
-
3
-
낙동강 본류의 어류상
-
조가익;
주기재;
장민호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(한국육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limnology,
v.34,
2001,
pp.223-238)
-
4
-
소형 잉어과 어류의 PIT tag 적용을 위한 생존율 평가
-
장민호;
윤주덕;
도윤호;
주기재;
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(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= 한국어류학회지,
v.19,
2007,
pp.371-377)
-
5
-
동해유입천에 서식하는 잔가시고기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계통분류학적 연구
-
장민호;
윤주덕;
채병수;
주기재;
일본국립환경연구원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국립공원연구원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(한국육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limnology,
v.39,
2006,
pp.265-270)
-
6
-
물리적인 교란 (여름 강우)에 대한 동물플랑크톤 서식처로서 수생식물의 중요성
-
최종윤;
김성기;
김동환;
주기재;
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;
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;
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;
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;
(생태와 환경 =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,
v.49,
2016,
pp.308-319)
-
7
-
낙동강 하구의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변화와 수금류(고니류)의 먹이식물인 세모고랭이의 성장 변화
-
김구연;
이찬우;
윤해순;
주기재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동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(한국생태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,
v.28,
2005,
pp.335-345)
-
8
-
기후변화와 담수 생태계: 변화와 대응
-
주기재;
김동균;
윤주덕;
정광석;
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;
서울대학교 컴퓨터연구소;
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;
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;
(대한환경공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,
v.30,
2008,
pp.1190-1196)
-
9
-
하천 생태학의 발전과 우리나라 하천 연구의 현황
-
주기재;
김현우;
하경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;
(한국생태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,
v.20,
1997,
pp.69-78)
-
10
-
울산지역 (가지산) 상류하천의 어류군집
-
최기룡;
주기재;
장민호;
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생물학과;
(한국육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limnology,
v.34,
2001,
pp.239-2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