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고려불화의 미적 특질과 그 계통성
-
주수완;
;
(한국중세사연구,
v.2012,
2012,
pp.221-259)
-
2
-
삼국시대 年號銘 金銅佛像의 제작연대에 관한 연구
-
주수완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44,
2011,
pp.187-227)
-
3
-
중국문헌을 통해본 중세 동남아의 불교문화(II)
-
주수완;
(사)한국미술사연구소,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;
(수완나부미,
v.4,
2012,
pp.57-90)
-
4
-
중국문헌을 통해본 중세 동남아의 불교문화(I): 법현(法顯)과 의정(義淨)의 저술을 중심으로
-
주수완;
(사)한국미술사연구소,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;
(수완나부미,
v.2,
2010,
pp.55-94)
-
5
-
2011년 추계 학술심포지엄 : 미술사에서 양식이란?
-
정무정;
장진성;
조규희;
김혜원;
조은정;
전한호;
고종희;
주수완;
전동호;
양은희;
김희영;
정은영;
;
(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,
v.36,
2012,
pp.261-283)
-
6.
- 메타버스 플랫폼 사용자 경험 연구 : 제페토를 중심으로
- 주수완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01 p., 2022
-
7.
- 大乘說法圖像의 硏究 : '觀經變相'과 '靈山佛會'圖像의 起源과 傳播
- 주수완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275 p., 2010
-
8
-
반구대 암각화 고래도상의 미술사적 의의
-
주수완;
;
(강좌미술사,
v.0,
2016,
pp.89-107)
-
9
-
The Visual Realization in United Silla along the Expansion of Avalokitesvara Legend in Miracle
-
주수완,;
;
(民族文化硏究 = Korean cultural studies,
v.81,
2018,
pp.11-40)
-
10
-
영산회상도상의 기원과 전파
-
주수완;
;
(강좌미술사,
v.0,
2013,
pp.59-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