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기계 복제시대의 건축과 한네스 마이어의 Co-op 작품에 관한 연구 ( A Study on the Architecture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and Co-op Works of Hannes Meyer )
-
진경돈;
이강업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13,
1997,
pp.183-194)
-
2
-
ABC 국제구성주의 건축운동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(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ity in ABC`s International Constructivism Architecture )
-
진경돈;
이강업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13,
1997,
pp.79-89)
-
3
-
아돌프로스의 건축에 나타난 비판적 전통주의에 관한 연구 ( A study on the Critical Conventionalism in Adolf Loos`s Works )
-
문정희;
진경돈;
이강업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13,
1997,
pp.23-34)
-
4
-
한네스 마이어의 건축교육적 특성과 그 건축적 배경에 관한 연구 -마이어의 역사적 아방가르드 건축특성을 중심으로-
-
진경돈;
이강업;
백제예술대 건축과;
한양대 건축공학부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7,
1998,
pp.121-135)
-
5
-
부석사의 입지선정배경과 배치변화특성에 관한 고찰
-
진경돈;
이강업;
한양대학교 이공대학 건축학과;
한양대학교 이공대학 건축학과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16,
1989,
pp.7-20)
-
6
-
근대초기 절충형 한옥성당에서 나타난 건축표현체계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-전북 화산성당의 건축적 특성과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-
-
진경돈;
백제예술대학 건축디자인과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10,
2001,
pp.23-41)
-
7
-
그리이스 신전건축의 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- B.C.7~B.C.4세기의 신전건축을 중심으로 ( A Study on the Proportion System of Greek Temples )
-
박종호;
이강업;
진경돈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11,
1995,
pp.31-39)
-
8
-
르네상스시대, Leon Battista Alberti의 '건축 10서'에 나타난 음계비례의 미학적 특징 및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-화성법에 따른 상대적 불협화음의 적용방법을 중심으로-
-
이강업;
진경돈;
배윤천;
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;
백제예술대 건축디자인과;
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10,
2001,
pp.57-75)
-
9
-
중세 고딕건축의 합리적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- 고딕의 전합리적 건축특성과 비례분석을 중심으로 ( A Study on the Rational Design Methodology of Gothic Architecture )
-
진경돈;
이강업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12,
1996,
pp.39-51)
-
10
-
근대 초기 파리만국박람회(1900) '한국관'의 건축과정과 초기설계안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
-
진경돈;
박미나;
백제예술대학, 동경대학 대학원 건축학;
동경대학 대학원 공학계 연구과 건축학;
(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,
v.17,
2008,
pp.3-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