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신라 통치의 흐름을 꿰뚫은 신앙적 정치체계 -채미하, 2008 『신라 국가제사와 왕권』, 혜안-
-
김정숙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55,
2009,
pp.419-433)
-
2
-
실학자들의 新羅史 연구 방법과 그 해석
-
채미하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2,
2011,
pp.145-176)
-
3
-
陶唐山과 그 성격 - 祭儀를 중심으로
-
채미하;
;
(新羅 文化,
v.36,
2010,
pp.31-52)
-
4
-
신라의 賓禮 - 당 使臣을 중심으로
-
채미하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43,
2011,
pp.37-75)
-
5
-
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 · 祭禮
-
채미하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5,
2012,
pp.35-75)
-
6
-
新羅 宣德王代 社稷壇 設置와 祀典의 整備
-
채미하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30,
2003,
pp.113-142)
-
7
-
신라 흥덕왕대의 정치와 儀禮
-
Chai, Mi-ha;
;
(新羅 文化,
v.42,
2013,
pp.291-314)
-
8
-
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‘통일신라’ 서술과 그 내용 분석
-
채미하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30,
2008,
pp.33-76)
-
9
-
신라의 건국신화와 국가제의
-
Chai, Mi-ha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55,
2014,
pp.167-196)
-
10
-
신라의 軍禮 수용과 王權
-
채미하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0,
2010,
pp.107-1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