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천승세 희곡에서 로컬리티의 문제
-
최상민;
;
(드라마연구 = The Journal of drama,
v.41,
2013,
pp.259-285)
-
2
-
천승세 희곡 연구
-
윤진현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11,
2000,
pp.235-262)
-
3.
- 천승세 <만선>의 갈등 양상 연구
- 임혜진
-
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6장, 2017
-
4
-
천승세 소설 연구 - 「낙월도」, 「신궁」을 중심으로
-
양윤의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52,
2011,
pp.257-271)
-
5.
- 한국 해양극문학의 ‘바다’ 연구 : 함세덕「무의도 기행」, 천승세「만선」, 이강백「물고기 남자」를 중심으로
- 김성희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4 p., 2010
-
6
-
[특집/은유] 한국소설의 '恨 풀이' 모티프와 주술적 연구―천승세 「신숭」의 은유체계를 중심으로¹)―
-
김정하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,
1998,
pp.61-84)
-
7
-
천승세 희곡 연구
-
윤진현;
인하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00,
pp.235-262)
-
8
-
바다의 경계 확장과 의미 변화 연구 - 천승세의 희곡 <만선>에서 소설 <빙등>까지
-
김태희;
고려대학교;
(해양유산연구,
v.0,
2022,
pp.35-54)
-
9
-
천승세 소설에 나타난 섬 공간과 무속 -「낙월도」와 「신궁」 을 중심으로-
-
김개영;
목포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18,
pp.211-236)
-
10
-
천승세 희곡에서 로컬리티의 문제
-
최상민;
;
(드라마 연구,
v.0,
2013,
pp.259-2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