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0건 중 150건 출력
, 1/15 페이지
-
1
-
‘궁상’이 ‘미’가 될 수 있는 이유 - 최규석의 『습지생태보고서』에 대한 소고
-
장현;
;
(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,
v.5,
2011,
pp.23-42)
-
2
-
고시가 연구의 '현재적' 위상과 '미래적' 전망 -문학의 일상성 회복과 고전적 가치의 역설-
-
최규수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38,
2001,
pp.61-76)
-
3
-
트위터에서 트윗(tweet)의 특징과 유형 연구
-
Hur, Sang-hee;
Choi, kyu-soo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61,
2012,
pp.455-494)
-
4
-
동사 형판과 동사토
-
최규수;
서민정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43,
2003,
pp.23-47)
-
5
-
한국어 주제어와 초점에 관한 몇 문제
-
최규수;
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언어와 정보 = Language and information,
v.4,
2000,
pp.16-23)
-
6
-
RFC모델의 한국어 억양 곡선에의 적용
-
표경란;
김형순;
최규수;
부산대;
부산대;
부산대;
(말소리,
v.35,
1998,
pp.157-173)
-
7.
- 평생교육기관 이미지가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기관 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
- 최규수
-
대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6 p., 2012
-
8
-
대학 작문에서 자기를 소개하는 글쓰기의 현실적 위상과 전망
-
최규수;
명지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5,
pp.581-603)
-
9
-
전제와 함축에 기초한 보조조사의 의미 분석(2) - ‘부터’와 ‘까지’를 중심으로 -
-
최규수;
;
(우리말연구,
v.,
2011,
pp.175-203)
-
10
-
自歎型 <思親歌>의 특징적 양상과 ‘思親’의 의미
-
최규수;
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40,
2012,
pp.147-1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