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한국 근대 청소년소설의 형성 연구
-
최배은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7,
2005,
pp.349-379)
-
2
-
근대 소년 잡지 『어린이』의 ‘독자담화실’ 연구 - ‘세대 간 소통 양상과 기능’을 중심으로
-
최배은;
;
(세계한국어문학 = International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,
2009,
pp.71-105)
-
3
-
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·청소년 과학소설의 디스토피아 연구
-
최배은;
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6,
2020,
pp.103-132)
-
4
-
별건곤 게재 ‘탐사 기사’의 ‘재미’를 창출하는 서술 방식 연구
-
최배은;
숙명여대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0,
2014,
pp.51-78)
-
5
-
한국 웹소설의 서술형식 연구
-
최배은;
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3,
2017,
pp.66-97)
-
6
-
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젠더 재현 양상 - 아이나무툰(EBS툰)을 중심으로 -
-
최배은;
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22,
2022,
pp.112-120)
-
7
-
SF 웹툰에서의 ‘비인간’ 청소년 연구--<하우스키퍼>, <나노리스트>, <캉타우>, <숲속의 담>을 중심으로-
-
최배은;
숙명여자대학교;
(방정환연구,
v.4,
2022,
pp.235-255)
-
8
-
전쟁기에 발간된 잡지 <희망>의 ‘희망’ 표상 연구 -아동․청소년 담론을 중심으로
-
최배은;
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3,
2017,
pp.131-159)
-
9
-
『청소년 토지』의 대중화 전략 비판
-
최배은;
;
(아동청소년문학연구,
v.0,
2016,
pp.357-384)
-
10
-
역사제재 스토리텔링의 단편소설적 양상 연구 시론 : 김동리와 손창섭의 단편역사소설을 중심으로
-
최배은;
숙명여자대학교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22,
pp.309-3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