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73건 중 273건 출력
, 1/28 페이지
-
1
-
최병두 : 한국의 공간과 환경 ( Byung Doo Choi : The Spatial Environment of Korea )
-
권용우;
;
(地理學,
v.26,
1991,
pp.301-303)
-
2
-
초국적 이주 연구의 비판과 그 확장을 위하여 : 최병두 (2018). 『초국적 이주와 환대의 지리학』. 푸른길.
-
고, 민경;
;
(다문화사회연구 = The journal of migration & society,
v.13,
2020,
pp.279-287)
-
3
-
쟁점토론-환경위기: 자본주의의 위기인가, 포드주의의 위기인가-최병두 교수의 자본주의사회와 환경문제에 부쳐
-
김환석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6,
1992,
pp.104-132)
-
4
-
자유주의적ㆍ마르크스주의ㆍ포스트모던 환경정의론은 취합가능한가?, 최병두.『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』(한울, 2010)
-
김민정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88,
2010,
pp.352-358)
-
5
-
금융 위기와 무분별한 부동산 정책
-
최병두;
;
(환경과 생명,
v.58,
2008,
pp.49-64)
-
6
-
신자유주의를 넘어 대안의 경제로 : 「신자유주의」, 데이비드 하비 저 최병두 옮김 / 「나쁜 사마리아인들」, 장하준 저 ; 이순희 옮김 <書評> /
-
김해창 [평];
;
(환경과 생명,
v.55,
2008,
pp.181-192)
-
7
-
서평: 『근대적 공간의 한계』(2002) ― 삼인 刊, 최병두(대구대학교 교수) 지음,
-
김용창;
세종사이버대학교;
(공간과 사회,
v.0,
2004,
pp.255-259)
-
8
-
지구ㆍ지방화와 다문화 공간, 『지구ㆍ지방화와 다문화 공간』, 최병두ㆍ안영진ㆍ임석회ㆍ박배균, 푸른길, 2011
-
박병섭;
;
(로컬리티 인문학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11,
2011,
pp.353-361)
-
9
-
서평: 『근대적 공간의 한계』(2002) ― 삼인 刊, 최병두(대구대학교 교수) 지음,
-
김용창;
;
(공간과 사회,
v.0,
2004,
pp.255-259)
-
10
-
지역경제 발전과 산업공간 재편에 관한 연구의 개념과 이론
-
최병두;
대구대학교;
(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회술표회 논문집,
v.2003,
2003,
pp.229-2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