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최부 「표해록」에 나타난 15세기 유자의 모습
- 정설화
-
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42 p., 2009
-
2
-
최부 ≪표해록≫ 언해본의 이본 고찰
-
이지영,;
;
(국어국문학,
v.null,
2017,
pp.5-33)
-
3.
- 崔溥《漂海錄》研究 : 최부 <표해록> 연구
- Gao, Jianhui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216 p., 2012
-
4
-
『최부 표해록 역주』에 대한 航海學的 검토
-
김성준;
;
(해양평론= Maritime review,
v.2009,
2009,
pp.10-22)
-
5
-
금남 최부의 정치 활동과 인재관 –성종 17년 重試 책문과 최부의 대책문을 중심으로-
-
안소연;
국민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9,
2018,
pp.199-227)
-
6.
- 내러티브 도학교재로서의 금남 최부 『표해록』 연구 : 시맨틱 데이터 큐레이션 방법을 기반으로
- 최원재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v, 236 p., 2021
-
7
-
A Tourism-based Approach : The Drift Records by Choi-Bu
-
Kim, Kyeongmi;
;
(관광경영연구 =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,
v.22,
2018,
pp.541-565)
-
8
-
최부 <탐라시>의 이본 고찰
-
윤치부;
;
(새국어교육,
v.0,
2010,
pp.453-476)
-
9
-
Cultural Historic Value of Choi Bu’s Phohaerok and Chinese Culture
-
Lee, Gwang-hyuk;
;
(中國人文科學,
v.71,
2019,
pp.435-450)
-
10
-
Pyohaerok of Choi Boo Viewed From Mobility Lens
-
Choung, Eun-hye;
;
(人文學硏究 :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42,
2020,
pp.449-4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