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<토공사> 고찰
-
최정락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65,
1998,
pp.305-323)
-
2
-
다산과 증산의 감응론(感應論)에 나타난 실천적 함의
-
최정락;
고려대학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50,
2024,
pp.139-176)
-
3
-
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나는 제시형식의 고찰-완판 84장본 <춘향전>을 중심으로-
-
최정락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68,
1999,
pp.275-297)
-
4
-
자외선 조사가 발효 감물과 소목의 복합 염색한 직물의 발색에 미치는 영향
-
장홍기;
박윤점;
박용서;
이상필;
최정락;
허북구;
;
(원예과학기술지 =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& technology,
v.24,
2007,
pp.112-112)
-
5
-
대순사상의 공사론(公私論)에 나타난 종교적 함의
-
최정락;
고려대학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49,
2024,
pp.331-364)
-
6.
- 장편영화 <설해> 제작보고서 : 프로듀싱을 중심으로
- 최정락
-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15 p., 2016
-
7
-
두 춘향의 성격 비교-남원고사와 열녀춘향수절가를 중심으로-
-
최정락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44,
1984,
pp.271-295)
-
8
-
판소리계 소설의 서술방법상 특성-<별주부전>과 <토생전>을 중심으로-
-
최정락;
;
(문학과 언어 =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7,
1986,
pp.163-192)
-
9
-
중풍환자에서 복창증(腹脹症)에 대한 치험(治驗) 1례(例)
-
김정주;
김명균;
최정락;
박성식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;
(사상체질의학회지 =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,
v.16,
2004,
pp.148-154)
-
10
-
영·호남 문학의 특성 고찰-양지역 조선조 문학의 대비를 통한-
-
최정락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0,
1989,
pp.301-3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