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최해의 시세계
-
이구의;
;
(嶺南 語文學,
v.14,
1987,
pp.379-398)
-
2
-
『삼한시귀감』(三韓詩龜鑑) 소재(所載) 최해(崔瀣)의 평점비평 연구
-
김대중;
;
(韓國文化,
v.61,
2013,
pp.33-67)
-
3
-
최해 한시의 사대부 의식 연구
-
안말숙;
동명대학교;
(동남어문논집,
v.1,
2012,
pp.165-196)
-
4
-
삼한시귀감(三韓詩龜鑑)
-
최해;
조운흘;
;
(동악어문논집,
v.15,
1981,
pp.339-350)
-
5
-
『삼한시귀감』(三韓詩龜鑑) 소재(所載) 최해(崔瀣)의 평점비평 연구
-
김대중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3,
pp.33-67)
-
6
-
高丽后期新兴士大夫的忠君愛民意識研究 - 以谨斋 · 益斋 · 拙翁的诗为中心
-
An, Mal-Sook;
;
(人文硏究,
v.2013,
2013,
pp.241-288)
-
7
-
「『拙藁千百』 譯註」(7) - 권1「金文正公墓誌」의 분석을 중심으로
-
Lee, Jin-Han;
Kim, Bo-Kwang;
Kim, Kyu-Rok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55,
2014,
pp.299-350)
-
8
-
崔瀣 시에 나타난 拙樸과 悲慨의 미
-
하정승;
한림대학교;
(한국한시연구,
v.0,
2007,
pp.197-241)
-
9.
- 崔瀣의 詩文學과 選詩意識
- 한영규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4p., 1992
-
10
-
우곡(愚谷) 정자후(鄭子厚)에 대한 소고
-
김경남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0,
pp.11-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