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F. 뒤렌마트 희곡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14,
2001,
pp.179-199)
-
2
-
프리드리히 뒤렌마트의 희곡 작품에 나타난 스위스적 희곡론
-
최홍근;
;
(카프카연구,
v.14,
2006,
pp.107-126)
-
3
-
공동기획연구 / 총론 : 브레히트 연극의 국내에서의 수용양상/총론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6,
1994,
pp.251-252)
-
4
-
신화적 소재의 영화적 변용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19,
2003,
pp.295-314)
-
5
-
영화 「베니스에서의 죽음」에서 본 동양적 예술관의 미적탐험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26,
2007,
pp.313-331)
-
6
-
복수와 소통의 미학적 구조 - 연극 「노부인의 방문」과 영화 「친절한 금자씨」를 중심으로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29,
2008,
pp.351-378)
-
7
-
작품주제에 의한 브레히트서사극의 연극적 변용 - 연극 「사천에 사는 착한 사람」과 「갈릴레이의 생애」를 중심으로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36,
2011,
pp.219-240)
-
8
-
현대 비극작가로서 프리드리히 뒤렌마트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15,
2001,
pp.293-318)
-
9
-
F. 뒤렌마트 작품에서 본 아나키스트(Anarchist)적 요소와 예술가적 요소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21,
2004,
pp.225-249)
-
10
-
브레히트 연극의 국내에서의 영향
-
최홍근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6,
1994,
pp.351-3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