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크리스챤 아카데미 주최 출판정책 대화모임 지상중계
-
대한출판문화협회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14,
1992,
pp.18-19)
-
2
-
Human Rights Problems in Korea through the Christian Academy Case in 1979
-
Lee , Sang-rok;
;
(역사비평 = Critical review of history,
v.128,
2019,
pp.64-110)
-
3
-
1980년대 한국의‘새로운’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 - 크리스챤 아카데미의‘여성의 인간화’담론과 ‘여성사회교육’을 중심으로
-
박인혜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5,
2009,
pp.141-174)
-
4
-
A Study on the Broadcast Discourses in the Public Sphere of Civil Society : Focused on the Dialogue Conferences of the Christian Academy
-
Oh, Won Hwan;
;
(언론과학연구=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,
v.18,
2018,
pp.97-151)
-
5
-
1979년 크리스챤 아카데미 사건을 통해 본 한국의 인권 문제
-
이상록;
국사편찬위원회;
(역사비평,
v.0,
2019,
pp.64-110)
-
6.
- 시민 리터러시 교육 활동체제 연구 : 1970년대 민간단체 사례를 중심으로
- 정인숙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245 p., 2024
-
7
-
환경실천으로 이어갈 환경위기의 담론
-
정수복;
크리스챤 아카데미 기획연구실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26,
1997,
pp.16-17)
-
8
-
1980년대 한국의 '새로운' 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: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'여성의 인간화' 담론과 '여성사회교육'을 중심으로
-
박인혜;
;
(한국여성학,
v.25,
2009,
pp.141-174)
-
9
-
‘코로나 19’를 통해 드러난 한국개신교인의 시민성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
-
이상철;
크리스챤 아카데미;
(신학과 사회,
v.35,
2021,
pp.65-96)
-
10
-
‘코로나 19’를 통해 드러난 한국개신교인의 시민성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
-
이상철;
크리스챤 아카데미;
(신학과 사회,
v.35,
2021,
pp.65-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