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-서평- 한국문화의 기원 (탐구신서 201. 1976년 11월 15일刊)
-
김원용;
;
(釜山史學,
v.1,
1977,
pp.125-130)
-
2
-
수사실무 및 법과학 지침서로서 「흠흠신서(欽欽新書)」의 재해석
-
김은기;
조현빈;
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;
순천향대학교 경찰행정학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6,
2016,
pp.583-590)
-
3.
-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 개발 방안 연구 : ‘흠흠신서’를 학습 자료로 활용한 사례를 중심으로
- 김종수
-
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101 p., 2009
-
4
-
黃胤錫의 일기 『頤齋亂藁』에 언급된 樂律에 대한 고찰
-
김수현;
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학연구센터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4,
pp.441-472)
-
5.
- 성호우파 문인들의 서학 비판 저술과 반서학적 인식의 계승 확산에 대한 연구
- 배한욱
-
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8, 2022
-
6.
- 困齋 鄭介淸의 學問과 政論
- 주유나
-
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36 p., 2010
-
7
-
정조와 문답한 ‘詩經講義’ 연구-周南과 召南을 중심으로-
-
최종호;
영남대학교;
(민족문화,
v.57,
2021,
pp.193-225)
-
8
-
조선 후기 중국 법서의 수용과 활용
-
정긍식;
서울대학교;
(서울대학교 법학,
v.64,
2023,
pp.1-32)
-
9.
- 列國題材文藝作品及其在韓國的影響 : Literature on the Warring States and its influence on South Korea
- 이은영
-
北京大學, 국외박사,
240p., 2005
-
10.
- 한일 근대문학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변용
- 명혜영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72 p., 2009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