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수필의 장르분화, '테마에세이'붐
-
강철주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42,
1989,
pp.20-20)
-
2
-
Contemplation on Life and Death: Focusing on Jiddu Krishnamurti’s Theme Essay Series
-
Chae, Eun Hie;
;
(인문사회 21 =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,
v.9,
2018,
pp.571-586)
-
3.
- Korean advanced learners' theme choices as a linguistic option in L2 writing : a comparative study eith the native corpus
- 김재현
-
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vii, 114 p., 2012
-
4.
- <부산, 영화, 그리고 나> : 다큐멘터리 영화 프로덕션 노트
- 그르배 펄
-
동의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6, 2021
-
5
-
유르스나르의 초기 미술비평 연구 - 소설 창작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
-
오정숙;
경희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61,
2020,
pp.267-295)
-
6.
- Selbstportrat im Text des Anderen Walter Benjamins Kafua-Lekture
- 김영옥
-
Rheinisch - Westfa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(RWTH Aachen), 국외박사,
1v.(various pagings), 1995
-
7
-
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중앙아시아 텍스트
-
송정수;
중앙대학교;
(슬라브硏究,
v.39,
2023,
pp.165-189)
-
8.
- 체계기능언어학 기반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
- 차명희
-
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361 p., 2022
-
9.
- 여행도서 콘텐츠에 반영된 여행트렌드 분석
- 조명화
-
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6 p., 2015
-
10
-
나혜석과 요사노 아키코의 모성이데올로기 비판과 여성적 글쓰기
-
송명희;
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7,
2016,
pp.219-52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