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《尼集墓志》의 파체 서법 연구
- 두위저우
-
경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43 p., 2024
-
2
-
현호색속 식물 4종에 대한 개미의 전파체 선택에 관한 연구
-
김갑태;
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28,
2014,
pp.495-499)
-
3
-
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식물종과 전파체 특성에 관한 연구(I)
-
김갑태;
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28,
2014,
pp.419-423)
-
4
-
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춘계단명식물 깽깽이풀과 현호색의 전파체, 종자산포 및 발아 특성
-
김회진;
김갑태;
강원대학교 대학원;
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31,
2017,
pp.485-491)
-
5
-
동파체(東坡体)와 우소지(嘘字)의문자변형・배열방식 비교 ―글자 개수별 조합을 중심으로―
-
금영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53,
2018,
pp.295-315)
-
6
-
한자(漢字)와의 비교를 통해 본 동파체(東坡体)・우소지(嘘字)・국자(国字)의 읽기 및 문자조합 방식
-
금영진,;
;
(日本硏究 = Japanese studies,
v.74,
2017,
pp.263-283)
-
7
-
동파체(東坡体)・파자(破字)와의 비교를 통해 본 돈지(鈍字)의 문자유희방식
-
금영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비교일본학,
v.44,
2018,
pp.39-62)
-
8
-
A study on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play of Donji (鈍字) in comparison to the pattern of characters in the play of Tungp'o (東坡体) and Paza(破字)
-
Keum, Young Jin;
;
(比較日本學 = Comparative Japanese studies,
v.44,
2018,
pp.39-62)
-
9
-
동파체(東坡体)와 우소지(嘘字)의문자변형・배열방식 비교 ―글자 개수별 조합을 중심으로―
-
금영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53,
2018,
pp.295-315)
-
10
-
한자(漢字)와의 비교를 통해 본 동파체(東坡体)・우소지(嘘字)・국자(国字)의 읽기 및 문자조합 방식
-
금영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7,
pp.263-2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