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2천 년을 잇는 진리의 보편성
-
판카즈 모한;
;
(국토 = Planing and policy,
v.2011,
2011,
pp.4-4)
-
2
-
서구학계와 한국학계의 한국 고대사연구 - 영어권 학자의 한국 삼국시대사 사료의 해석을 중심으로
-
판카즈 모한,;
;
(아시아문화연구,
v.22,
2011,
pp.195-220)
-
3
-
Buddhism as a Conduit of Nationalism in Korea and India in the Early 20th Century: Focusing on the Role of Han Yong-un and Rahul Sankrityayan
-
판카즈 모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윤리연구,
v.1,
2013,
pp.93-122)
-
4
-
Buddhism as the Force of Ideological Cohesion -Focusing on the Uses of Buddhism in Ancient India, North China under Central Asian Tuoba Wei ruler and Korea-
-
판카즈 모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불교학,
v.0,
2012,
pp.7-39)
-
5
-
6세기 신라에서의 왕권과 불교 간의 관계 ·
-
판카즈 모한;
호주 시드니 대학;
(불교학연구,
v.9,
2004,
pp.135-512)
-
6
-
Contending Perspectives on Koguryo: A Fresh Look at China’s Northeast Project
-
판카즈 모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동국사학,
v.0,
2011,
pp.53-93)
-
7
-
Buddhism as a Conduit of Nationalism in Korea and India in the Early 20th Century: Focusing on the Role of Han Yong-un and Rahul Sankrityayan
-
판카즈 모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윤리연구,
v.1,
2013,
pp.93-122)
-
8
-
6세기 신라에서의 왕권과 불교 간의 관계 ·
-
판카즈 모한;
호주 시드니 대학;
(불교학연구,
v.9,
2004,
pp.135-512)
-
9
-
Buddhism as the Force of Ideological Cohesion -Focusing on the Uses of Buddhism in Ancient India, North China under Central Asian Tuoba Wei ruler and Korea-
-
판카즈 모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불교학,
v.0,
2012,
pp.7-39)
-
10
-
서양 학계의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
-
판카즈 모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신라사학보,
v.0,
2011,
pp.277-3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