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나쓰메 소세키의 『풀베개(草枕)』와 이광수의 『재생』 비교연구 - 주인공의 온천체험을 중심으로
-
申允珠;
權赫建;
;
(日語日文學 =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49,
2011,
pp.287-301)
-
2
-
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와 李御寧이 추구한 패러독스의 세계 -『나는 고양이로소이다』『풀베개』『가위바위보 문명론』을 중심으로 -
-
강현모,;
;
(日本文化學報= Journal of Japanese culture,
v.55,
2012,
pp.155-174)
-
3
-
나쓰메 소세키의 『풀베개(草枕)』와 이광수의 『재생』 비교연구-주인공의 온천체험을 중심으로-
-
신윤주;
권혁건;
동의대학교;
동의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1,
pp.287-301)
-
4
-
나쓰메 소세키의 『풀베개(草枕)』와 이광수의 『재생』 비교연구-주인공의 온천체험을 중심으로-
-
신윤주;
권혁건;
동의대학교;
동의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1,
pp.287-301)
-
5
-
『풀 베개(草枕)』론 ― 中庸의 美를 중심으로 ―
-
강현모,;
;
(日本文化學報= Journal of Japanese culture,
v.51,
2011,
pp.165-184)
-
6
-
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와 李御寧이 추구한 패러독스의 세계 -『나는 고양이로소이다』『풀베개』『가위바위보 문명론』을 중심으로 -
-
강현모;
충남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2,
pp.155-174)
-
7
-
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문학에 나타난 미개척영역으로서의 강담(講談) -사생문(?生文)소설 ⟨풀베개(草枕)⟩에 끼친 영향
-
오현수;
서경대;
(일어일문학연구,
v.53,
2005,
pp.139-164)
-
8
-
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문학에 나타난 미개척영역으로서의 강담(講談) -사생문(?生文)소설 <풀베개(草枕)>에 끼친 영향
-
오현수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53,
2005,
pp.139-164)
-
9
-
『풀 베개(草枕)』론 ― 中庸의 美를 중심으로 ―
-
강현모;
충남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1,
pp.165-184)
-
10
-
『풀 베개(草枕)』소론 - 일상(日常)과 비일상(非日常) 상극(相剋)을 중심으로 -
-
장남호;
충남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1,
pp.240-2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