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하정일의 민족문학론과 탈식민론
-
SungHo Yoo,;
;
(현대문학의 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68,
2019,
pp.329-350)
-
2
-
하정일의 민족문학론과 탈식민론
-
유성호;
한양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19,
pp.329-350)
-
3
-
전후 소설의 성격과 이범선 문학
-
하정일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21,
1999,
pp.5-21)
-
4
-
[작가론] 계몽의 내면화와 자기 확인의 서사 - 이태준론
-
하정일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,
1996,
pp.175-200)
-
5
-
[특집: 우리의 자본주의 문화] 후기 자본주의와 근대 소설의 운명
-
하정일;
;
(현상과 인식 =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,
v.19,
1995,
pp.31-60)
-
6
-
소통의 부재 혹은 민중 동원의 수단으로서의 소통 - 191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과 사회사상을 중심으로
-
하정일;
;
(人文硏究,
v.55,
2008,
pp.151-178)
-
7
-
이상갑 지음 『한국근대문학과 전향문학』
-
하정일;
;
(국어국문학,
v.115,
1995,
pp.503-508)
-
8
-
[특집-한국근대문학과 식민주의: 저항과 공모] 프로문학과 식민주의
-
하정일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3,
2002,
pp.8-28)
-
9
-
프로문학의 탈식민 기획과 근대극복론 - 볼세비키화 시기를 중심으로
-
하정일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0,
2010,
pp.423-450)
-
10
-
민족과 계급의 변증법 - 최서해 문학의 탈식민적 성취와 한계
-
하정일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6,
2005,
pp.216-2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