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[특집:90년대 한국문학연구의 동향] 전후소설의 재발견 - 1990년대 전후소설 연구의 조망 -
-
유임하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9,
2002,
pp.71-92)
-
2
-
한국문학의 바다, 그 재발견의 의미
-
최영호;
해군사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9,
pp.21-48)
-
3
-
공상과학의 욕망과 문학 바깥의 가능성들 -최애순, 『공상과학의 재발견- 소설과 만화로 들여다본 한국 공상과학 연대기』(서해문집, 2022)-
-
김도경;
경북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23,
pp.143-148)
-
4
-
진화론과 문학: 은유, 서사, 마음의 재발견
-
오철우;
서울대 과학사및과학철학협동과정;
(科學技術學硏究 = Journal of science & technology studies,
v.14,
2014,
pp.223-249)
-
5.
- 國民文學에 투영된 한일 작가의 시대인식 硏究
- 사희영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13 p., 2011
-
6
-
게일의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(『한국민족사』, 1927), 문학적 관점에서의 접근 필요성에 대한 고찰
-
강혜정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3,
pp.517-537)
-
7.
- 「무진기행」과 「삼포 가는 길」의 시공간 의식 비교 연구
- 최현주
-
순천대학교, 국내석사,
iv, 85장, 2008
-
8
-
196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탈경계적 여성의식 연구 -『한국여류문학전집』(1967)을 중심으로
-
공라현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4,
pp.117-195)
-
9.
- The making of early modern Korean poetry
- 심명호
-
University of London, 국외박사,
401 p., 1980
-
10
-
兪吉濬의 國文觀과 社會思想
-
고영근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32,
2004,
pp.405-4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