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65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.
- 한국문화사 교재의 구성방향
- 김육훈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8p., 2009
-
2.
- 고등학교 「한국문화사」의 내용구성 방안
- 양치구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70 p., 2009
-
3
-
박영배, 『고대영어문법』(한국문화사, 1997)
-
문안나;
;
(중세영문학 = Medieval english studies,
v.5,
1997,
pp.309-311)
-
4
-
국사교과서 문화사 서술분석과 『한국문화사』서술 방안
-
이경진;
;
(역사교육연구= Studies on history education,
v.8,
2008,
pp.43-85)
-
5
-
『한국문화사』 수업 전개에 대한 고찰 - 유교와 불교를 중심으로
-
서인원;
;
(歷史와實學 = The Journal of History and Korean Practical Thought Studies,
v.39,
2009,
pp.177-202)
-
6
-
북한문학의 한국문화사 편입, 그 실태와 전망
-
김중식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135,
1993,
pp.18-18)
-
7
-
‘이슬람주의: 현대 아랍세계의 일그러진 자화상’ : (서울: 한국문화사, 2014), 452pp.
-
김, 정년;
;
(Muslim-christian encounter : Torch trinity center for islamic studies journal,
v.8,
2015,
pp.181-190)
-
8
-
2007년 개정 교육과정 ‘한국문화사’의 성격 검토와 내용 진술 방향
-
崔鍾奭;
;
(歷史 敎育,
v.105,
2008,
pp.1-36)
-
9
-
상상력과 문화 - 한국문화사회학회 창립총회 기조연설문
-
김무경;
;
(문화와 사회 = Culture & society,
v.1,
2006,
pp.9-17)
-
10
-
언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새로운 모색과 통찰 - 김의수, 『문법 연구의 주제 탐색』, 한국문화사, 2017 -
-
Lee, Sun-Woong;
;
(梨花語文論集,
v.57,
2022,
pp.351-3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