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77건 중 577건 출력
, 1/58 페이지
-
1
-
김건영 시집 『파이』를 통해서 본 2010년대 한국시의 특질 연구―‘부서진 방패’의 시학과 ‘반(反)유토피아 세계관’을 중심으로
-
신동재;
연세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4,
pp.129-192)
-
2
-
한국시의 포에틱 딕션 혁신과 미적 자유 (1) ― 전영경 시집 『김산월 여사』의 비속어 수행
-
윤종환;
연세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24,
2023,
pp.47-82)
-
3
-
1960년대 한국시의 이미지-사유와 정동(情動)의 정치학 - 『한국전후문제시집』(1961)의 이미지-체제를 중심으로 -
-
조강석;
연세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9,
pp.485-513)
-
4
-
1960년대 한국시의 이미지-사유와 정동(情動)의 정치학 - 『한국전후문제시집』(1961)의 이미지-체제를 중심으로 -
-
조강석;
연세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9,
pp.485-513)
-
5.
- 서정주 시에 나타난 미각과 후각 이미지 연구
- 이병철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73 p., 2019
-
6.
- 건축물 안전진단 및 점검장비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안전진단 효율성 향상 방안
- 이윤종
-
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, 국내석사,
ix, 119 p., 2019
-
7.
- 詩集 瓦斯燈 硏究
- 정창섭
-
漢陽大學校, 국내석사,
iii,40장, 1990
-
8
-
중국 가전제품의 대 한국 수출경쟁력분석
-
양홍연;
이제홍;
조선대학교;
조선대학교;
(무역금융보험연구,
v.22,
2021,
pp.101-114)
-
9.
- 宋稶 文學 硏究
- 박종석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40 p., 1998
-
10
-
몽골어로 번역된 한국 문학
-
B. Dulmaa;
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12,
2009,
pp.173-18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