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전통음식, 학교급식에 어떻게 전승할 것인가
-
한복려;
;
(식품세계 = The Monthly food world,
v.10,
2009,
pp.63-69)
-
2
-
할미꽃(백두옹, Pulsatilla Koreana) 첨가가 오이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
-
한복려;
조정순;
궁중음식연구원;
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(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=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,
v.15,
2005,
pp.323-333)
-
3
-
「삭망다례등록(朔望茶禮謄錄)」에 기록된 궁중음식에 관한 분석적 고찰
-
이소영;
한복려;
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;
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31,
2016,
pp.300-324)
-
4.
- 할미꽃(백두옹, Pulsatilla koreana) 첨가가 오이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
- 한복려
-
明知大學校, 국내박사,
xii, 88장, 2005
-
5
-
「갑오 재동 제물정례책(甲午 齋洞 祭物定例冊)」에 기록된 복온공주의 다례를 통해 살펴본 궁중음식 고찰
-
이소영;
한복려;
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;
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34,
2019,
pp.495-507)
-
6
-
초계탕의 시대적 변천에 대한 연구
-
장소영;
한복려;
경민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;
궁중음식연구원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27,
2012,
pp.469-480)
-
7
-
조선시대 전반기의 두장류(豆醬類)에 관한 문헌적 고찰
-
한복려;
김귀영;
궁중음식문화재단;
궁중음식문화재단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35,
2020,
pp.1-13)
-
8
-
떡의 상품화 방안
-
한복려;
(사)궁중음식연구원;
(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 심포지움 발표자료,
v.2002,
2002,
pp.582-585)
-
9
-
「내외진연등록(內外進宴謄錄)」을 통해 본 궁중연회음식의 분석적 고찰 - 1902년 중화전 외진연(外進宴) 대전과 황태자의 상차림을 중심으로 -
-
이소영;
한복려;
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;
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27,
2012,
pp.128-141)
-
10
-
18세기 고문헌 「잡지」에 기록된 조리에 관한 문헌적 고찰
-
한복려;
김귀영;
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;
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27,
2012,
pp.304-3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