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아네사키 마사하루(姉崎正治)의 ‘신종교’론과 그 실천 양상
-
이연승;
서울대학교;
(종교문화비평,
v.44,
2023,
pp.140-176)
-
2
-
A Study on Sundo Thoughts in Korean New Religions
-
Na, Kwon-Soo;
;
(仙道文化= Journal of Korean Sundo culture,
v.12,
2012,
pp.409-444)
-
3
-
동아시아 신종교문화에서대순진리회의 종교실천적 특징 : 중국 일관도와 일본 천리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
이수현;
이경원;
경희대학교 종교시민문화연구소;
대진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52,
2025,
pp.111-150)
-
4
-
日本の新宗教運動におけるヒーリングとスピリチュアリティ -<いのち>のコノテーションとその現代的限界性-
-
樫尾直樹;
慶應義塾大學校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16,
2003,
pp.203-216)
-
5
-
상제와 삼계: 대순진리회의 우주론과 동아시아신종교
-
Kim, David W.;
호주국립대학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25,
2015,
pp.189-229)
-
6
-
한국 신종교 운동으로서 대순진리회
-
데이비드 김;
호주국립대학교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24,
2014,
pp.145-208)
-
7
-
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한 대순사상의 의미
-
조용기;
대진대학교;
(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,
v.9,
2015,
pp.35-47)
-
8
-
한국 신종교의 개혁사상과 다문화가정
-
조응태;
선문대학교;
(신종교연구,
v.21,
2009,
pp.147-175)
-
9
-
한국 신종교연구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와 전망 -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만남을 중심으로-
-
안신;
배재대학교;
(신종교연구,
v.26,
2012,
pp.205-226)
-
10
-
종교평화를 위한 한국 신종교문화 비전
-
조응태;
선문대학교;
(신종교연구,
v.34,
2016,
pp.235-2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