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재미동포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-‘한국어 교육 및 언어, 언어의 사회적 영향력’에 대한 인식 간 상관관계를 중심으로-
-
한하림;
한밭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23,
pp.187-218)
-
2.
-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교수 모형의 개발 및 적용과 평가
- 한하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48 p., 2011
-
3
-
제3국 출신 탈북 아동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- P학교 소속 탈북 아동과의 면담을 중심으로
-
한하림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5,
pp.327-358)
-
4
-
외국인 학부생의 자기조절학습 능력, 사회적 실재감, 교수 실재감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
-
한하림;
한밭대학교;
(한국어교육,
v.32,
2021,
pp.287-312)
-
5
-
동시 출현 단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연구 동향 고찰
-
한하림;
국립한밭대학교;
(어문연구,
v.122,
2024,
pp.525-547)
-
6.
- 한국어교육을 위한 맥락 모형 연구
- 한하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249 p., 2017
-
7
-
한국어 초급 아동 학습자의 문어 담화에 나타난 응집성 발달 연구 - 내러티브 작문 과제를 중심으로-
-
한하림;
한밭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23,
pp.209-235)
-
8
-
외국인 유학생 대상 <공학 글쓰기> 교과목 개발을 위한 시론
-
한하림;
한밭대학교;
(교양교육연구,
v.15,
2021,
pp.85-99)
-
9
-
코퍼스 분석 방법을 사용한 유럽공통참조기준(CEFR)의 등급 기술문 고찰 -한국어능력시험(TOPIK)의 국제적 통용성 강화를 위하여-
-
한하림;
이인혜;
국립한밭대학교;
전남대학교;
(한국어교육,
v.36,
2025,
pp.281-312)
-
10
-
KSL 아동의 연결어미 발달 양상 연구
-
한하림,;
;
(한국어 교육 = Korean language education,
v.30,
2019,
pp.355-3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