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와전된 정신분석학의 비평 - 김현의 글 『소설은 왜 읽는가』에 대한 비판적 읽기
-
한형구;
;
(라깡과 현대정신분석= The Journal of Lacan & contemporary psychoanalysis,
v.1,
1999,
pp.61-86)
-
2
-
[논문] 김기진, 혹은 신경향파 비평의 의식 구조: '프롤레타리아 컬트'론의 진동(초창기 한국근대비평의 쟁기 1)
-
한형구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3,
2002,
pp.140-183)
-
3
-
한국 근대 문학과 '민족'(民族)이라는 상상 공동체 - 민족주의적 정열, 혹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주동력
-
한형구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6,
2005,
pp.202-236)
-
4
-
30년대 문단 재편과 시론의 비평적 전개 -‘기교주의 논쟁’재음미 -
-
한형구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7,
2005,
pp.221-253)
-
5
-
항만청 시설 보강 큰 불편 없어 - 수산예산 충분할지 걱정
-
한형구;
강구수협;
(漁港,
v.26,
1994,
pp.25-27)
-
6
-
편집자-비평가로서 조연현(趙演鉉)의 생애와 문예지 《현대문학》
-
한형구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9,
2001,
pp.57-88)
-
7
-
어항관리 - 관리소홀피해 어민이 제일 커 누구보다 앞장서야
-
한형구;
강구수협;
(漁港,
v.21,
1992,
pp.20-21)
-
8
-
한국 탐미(주의) 비평의 한 사례 - 1930년대 후반 김문집 비평의 문단 위상과 그 미적 이론의 형성 배경
-
한형구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47,
2011,
pp.343-379)
-
9
-
[논문] 한국근대 (문예)비평(사)의 원점론(2) - 1920년대 초 염상섭ㆍ김동인 논쟁의 비평사적 의의 재음미
-
한형구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,
2001,
pp.187-230)
-
10
-
초기 유종호 비평의 어문민족주의적 정향성에 관하여 - 한글전용의 어문 사상과 토착어주의의 문예 미학 수립 양상을 중심으로
-
한형구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7,
2009,
pp.339-3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