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디지털 예술과 몸의 개입 — 마크 핸슨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
-
박영욱;
;
(드라마 연구,
v.0,
2014,
pp.5-31)
-
2
-
Mediation of Digital Technology, Expansion of the Body: Focusing on Mark Hanson’s ‘Affectivity’ and ‘Bodies in Code’
-
Seung-Bin, Choi;
;
(美學·藝術學硏究,
v.64,
2021,
pp.176-194)
-
3
-
디지털 예술과 몸의 개입 — 마크 핸슨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
-
박영욱;
숙명여자대학교;
(드라마 연구,
v.0,
2014,
pp.5-31)
-
4
-
디지털 기술의 매개, 몸의 확장: 마크 핸슨의 ‘정서’와 ‘코드 안의 몸’을 중심으로
-
최승빈;
서강대학교;
(미학예술학연구,
v.64,
2021,
pp.176-194)
-
5.
- 영화 체험의 지각적 직접성 연구 : 메를로-퐁티의 육체 현상학을 중심으로
- 정윤정
-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, 국내석사,
i, 86 p., 2012
-
6
-
변용된 신체개념과 디지털 매체 예술 경험에 관한 연구
-
정세라;
홍익대학교;
(예술과 미디어,
v.21,
2022,
pp.93-107)
-
7
-
넷플릭스 몰아보기(binge-watching)와 참여적 관객성
-
박미영;
중앙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5,
2022,
pp.241-265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