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⟨보현시원가⟩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성격
-
전재강;
안동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37,
2014,
pp.139-172)
-
2
-
『보현시원가』 한역과 10세기 후반 향가의 중국 전파
-
최재남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16,
pp.5-26)
-
3
-
역사적 재방문으로서의 재전시: 《태도가 형식이 될 때 1969 베른/ 2013 베니스》(2013)와 《백남준 : 모든 감각을 위한 음악》(2009) 전을 중심으로
-
현시원;
큐레이터, 시청각 대표;
(예술과 미디어,
v.21,
2022,
pp.131-151)
-
4.
- 전시 만들기와 기록으로서의 ‘전시 도면’ 연구 -큐레이터의 실험적 실천으로서의 전시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
- 현시원
-
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05 p., 2022
-
5.
- 口訣로 본 普賢十願歌 解釋
- 박재민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297 p., 2002
-
6
-
민중미술의 유산과 '포스트 민중미술'
-
현시원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현대미술사연구,
v.0,
2010,
pp.7-39)
-
7
-
‘개인’의 위치 - 2010년대 미술가/개인의 존재 방식과 사회적 발언
-
현시원;
연세대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18,
pp.285-305)
-
8
-
불가능의 순간, ‘문제적 시간’
-
현시원;
성균관대학교;
(무용역사기록학,
v.62,
2021,
pp.163-168)
-
9
-
역사적 재방문으로서의 재전시: 《태도가 형식이 될 때 1969 베른/ 2013 베니스》(2013)와 《백남준 : 모든 감각을 위한 음악》(2009) 전을 중심으로
-
현시원;
큐레이터, 시청각 대표;
(예술과 미디어,
v.21,
2022,
pp.131-151)
-
10
-
백남준의 《음악의 전시-전자 텔레비전》을 둘러싼 사진 기록의 위상
-
현시원;
성균관대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21,
pp.185-2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