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淵泉 洪奭周가 『道德經』을 주석한 목적 ―사상사적인 관점 아래 『醇言』과 『新註道德經』과의 관계를 중심으로―
-
김학목;
경희대학교;
(철학연구,
v.60,
2003,
pp.5-24)
-
2
-
삼국유사에 나타나는 밀본의 실체
-
장활식;
부산대학교;
(신라문화,
v.47,
2016,
pp.103-138)
-
3.
- 영조 사친 숙빈 최씨의 궁원 의물 연구
- 박금진
-
한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4 p., 2011
-
4.
- 조선왕릉의 풍수연구 : 건원릉, 헌릉, 영릉, 융건릉, 홍유릉 중심으로
- 이윤재
-
서경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84, 2020
-
5.
- 노장 도체론에 대한 율곡학파의 해석
- 왕초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70 p., 2019
-
6
-
조선시대 {老子} 주석서에서 ‘仁義’와 ‘私’ 개념의 전개
-
김윤경;
성균관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11,
pp.241-262)
-
7
-
강화학파의 [도덕경]주석에 관한 고찰
-
김학목;
경희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4,
pp.277-299)
-
8.
- A Study of Haigaku in Saitama Prefecture
- 尾崎高惠(오자키타카에)
-
경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v, 147 p., 2021
-
9.
- 일한연극의 비교문화사적연구
- 李應壽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334, 2022
-
10.
- 일한연극의 비교문화사적연구
- 李應壽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334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