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정현백·김정안, 『처음 읽는 여성의 역사』(파주: 동녘, 2011), 320쪽.
-
홍찬숙;
;
(歷史 學報,
v.181,
2011,
pp.412-420)
-
2
-
한국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젠더범주의 민주주의적 함의 - 1990년대를 중심으로
-
홍찬숙;
;
(여성과 역사 = Women and history,
v.17,
2012,
pp.1-25)
-
3
-
‘비동시대성의 사회학’의 가능성 : 홍찬숙, 『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: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』(세창출판사, 2022)
-
김, 성윤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37,
2023,
pp.251-258)
-
4
-
계급론 대 개인화 이론? - 계급정치에서 (세계)시민정치로
-
Chan-Sook Hong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48,
2014,
pp.107-132)
-
5
-
엥겔스의 「가족, 사유재산, 국가의 기원」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검토 - ‘체계’와 ‘개인화’의 관점을 중심으로
-
홍찬숙;
;
(西洋史硏究 = The Journal of Western history,
v.39,
2008,
pp.27-50)
-
6
-
동북아 가족주의 맥락에서 본 한국 여성 개인화의 세 시나리오
-
홍찬숙;
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13,
2017,
pp.147-172)
-
7
-
여성의 행복과 성찰성, 정의감각 - 비판적 행복연구 방법론을 위한 제안
-
홍찬숙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5,
2009,
pp.99-128)
-
8
-
현대의 신자유주의 지구화 사회에서 페미니즘의 ‘실천적 전환’ 촉구
-
홍찬숙;
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22,
2019,
pp.308-316)
-
9
-
독일 통일 후 구동독 출신 여성의 서독 이주와 서독화의 다양성
-
홍찬숙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7,
2011,
pp.83-110)
-
10
-
사랑의 지구적 혼란과 가족의 미래 - 울리히 벡/엘리자베트 벡-게른스하임, ��장거리 사랑��, 이재원/홍찬숙 옮김, 새물결, 2013
-
정용숙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9,
2013,
pp.231-2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