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스피노자에서 방법으로서의 히스토리아(historia) 개념
-
박기순;
박삼열;
;
(근대철학,
v.1,
2006,
pp.5-30, 141-146,185)
-
2
-
틈새review-'히스토리아'
-
고명섭;
한겨레 문화부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31,
2003,
pp.112-113)
-
3
-
스피노자의 히스토리아 개념과 그 윤리적 기능
-
조현진;
명지대학교;
(철학논집,
v.32,
2013,
pp.71-92)
-
4
-
Μῦθος and Ιστορία: Visualization and Mythologizing of Historical Narrative in the 5th Century B.C. Athenian Society
-
Cho, Eunjung;
;
(美術史學 = Art History,
v.42,
2021,
pp.101-122)
-
5
-
낭만주의 역사화: 히스토리아(Historia)에서 저널리즘으로의 발전
-
김정락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,
v.0,
2015,
pp.239-267)
-
6
-
김기봉, 『히스토리아, 쿠오바디스: 탈근대, 역사학은 어디로 가는가』(서해문집, 2016), 352pp.
-
양재혁;
성균관대학교;
(서양사론,
v.0,
2016,
pp.337-342)
-
7
-
미토스와 히스토리아: 기원전 5세기 아테네 사회에서의 시각적 역사 기술과 신화적 수용의 문제
-
조은정;
목포대학교;
(미술사학,
v.42,
2021,
pp.101-122)
-
8
-
근대적 문학사의 한 가지 기원 -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문학사 기획
-
이경진;
서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3,
2022,
pp.41-68)
-
9.
- 스피노자에서 여성과 민주주의
- 박설희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iv,101 p., 2020
-
10
-
1차 세계대전과 미스터리 소설 ―1920년대 초 김동성의 번역을 중심으로―
-
김미연;
성균관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;
(사이間SAI,
v.0,
2024,
pp.79-10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