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그림민담에 나타난 '입문의례의 어머니' 양상 연구 : 소녀의 입문의례를 중심으로 = Eine Untersuchung ?ber die 'Initiationsmutter' in Grimmschen M?rchen: Ihre Rolle in den Initiationsriten von M?dchen
- 최혜원, 경기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2.
- 민담의 애니메이션화 : 그림형제의『아동과 가정 민담』과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= Die Verfilmung des Märchens : ein Vergleich des Grimmschen Märchens mit der Animation von Disney
- 김다니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3.
- E.T.A. 호프만의 『황금단지』에 나타난 작가 수업과 매체의 관계 연구 : 필경사에서 작가로 = Dichterbildung und Medien beim M?rchen Der goldene Topf von E.T.A. Hoffmann: Vom Schreiber zum Dichter
- 김성진,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4]
-
4.
- 효과적인 독일어 수업을 위한 독일동화 활용 방안 연구 = Eine Studie über die Anwendung des deutschen Märchens im Deutschunterricht
- 박소정, 조선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5.
- Grimm 동화에 나타난 의붓 어머니상 = Die Muttersgestalt im Br?der Grimms M?rchen
- 이선희, 조선대학교, [2015]
-
6.
- 그림형제 동화에 나타난 여성 성숙의 문제 : 백설 공주, 신데렐라, 장미공주를 중심으로 = Die reife Fragen der Frauen im Grimmschen M?rchen - In Bezug auf “Schneewittchen", "Aschenputtel", "Dornr?schen"
- 정은실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7.
- 루트비히 티크의 「루넨산 Der Runenberg」에 나타난 작품구도와 인물특성 연구 = Eine Studie zu Struktur und Charakteristika der Figuren in Ludwig Tiecks Kunstmärchen Der Runenberg
- 유지형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8.
- 하인리히 하이네의 작품 「독일. 겨울동화 Deutschland. Ein wintermärchen」연구 : 복고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= Eine Untersuchung über Heinrich Heines Werk 「Deutschland. Ein Wintermärchen」 : unter dem Aspekt der Kritik der Restarurationsideologie
- 임춘택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1999]
-
9.
- 그림형제의 「어린이 동화및 가정동화」연구 : 서술형식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= Untersuchung zu Bru¨der Grims "Kinder-und Hausma¨rchen" : U¨ber Grundformen Volkstumlicher Erzahlerkunst
- 김세환, 檀國大學校 大學院, [1989]
-
10.
- 호프만스탈의 초기 작품 『바보와 죽음』과 『672번째 밤의 동화』에서의 유미주의 비판
- 김유연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