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3건 중 113건 출력
,1/12페이지
-
1.
- 여성 소비자의 가정간편식 수산 제품의 이용 실태와 인식도 조사 = A survey on the usage status and awareness of seafood products in Home Meals Replacement by female consumers
- 이정은, 전남대학교, [2024]
-
2.
- 공간영상정보와 GIS를 활용한 양식 수산물 생산량 추정 기법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Farmed Marine Product Output Estimation technique Using Spatial Image Information and GIS
- 강경민,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, [2020]
-
3.
- 즉석섭취 수산 식품의 비브리오 검출수준 및 유통환경 분석 = Prevalence of Vibrio spp. in ready-to-eat seafood and its distribution environment
- 정유미, 고려대학교, [2019]
-
4.
- 친환경 스마트 수산양식을 위한 ICT융복합 시스템 구축 연구 =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ICT convergence system for development of fisheries farm industry
- 조보현, 공주대학교, [2019]
-
5.
- 코로나-19와 인구·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수산물 소비행태 분석 = Analysis of Seafood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COVID-19 and Demographic Factors
- 임명수,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6.
- UHPLC-QTOF을 활용한 농·축·수산물 중 농약다성분 동시분석 및 완두 중 Sulfoxaflor의 잔류특성 = Simultaneous Multiresidue Pesticide Analysis in Agricultural, Livestock, and Aquatic Products and Determination of Residual Characteristics of Sulfoxaflor in Pea (Pisum sativum L.) Using UHPLC-QTOF
- 김수민, 동아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7.
- 수산 가공부산물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이 참돔 및 조피볼락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=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Marine By-product on Growth in Red Seabrean and Korean Rockfish
- 孫禎晧, 여수대학교, [1999]
-
8.
- 수산부산물을 재활용한 크릴아미노산액비 시비가 상추의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
- 정다영, 공주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9.
- 남해안 수산자원보호구역 진동만, 여자만, 득량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분포 = Spatio-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Jindong bay, Yeoja bay, Deukryang bay of Fisheries Protected Area, Southern Coast of Korea
- 이상진, 부경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10.
- 새싹인삼을 첨가한 고부가가치 수산가공품의 제조 및 품질 특성 = Processing and quailty characteristics of the high value-added seafood products using Panax ginseng sprout
- 정희범, 慶尙大學校, [2018]